진한 발자취를 남긴 인기모델(퍼옴)

아르고 0 7142 0 0
2007/12/24 13:12

진한 발자취를 남긴 인기모델(퍼옴)

 
924_1.jpg
Alpine CDA-7990
924_2.jpg
Clarion DRX9255
924_3.jpg
Clarion HX-D1
924_4.jpg
Denon DCT-A1
924_5.jpg
McIntosh MX406
924_6.jpg
a/d/s 236/235is
924_7.jpg
Boston Pro Series
924_8.jpg
Dynaudio 220/240
924_9.jpg
Eton Pro 160
924_10.jpg
Focal 165K2 Series
924_11.jpg
Audison VRX Series
924_12.jpg
Brax X2000/X2400
924_13.jpg
PPI PC Series
924_14.jpg
Xtant 2200ix
924_15.jpg
Zapco C2K Series
924_16.jpg
Cerwin Vega Stroker Series
924_17.jpg
Degital Design 9000 Series
924_18.jpg
Focal 33WX/38WX
924_19.jpg
Kicker Solobaric Series
924_20.jpg
Mmats Juggernaut

진한 발자취를 남긴 인기모델

과거 10년 동안 국내외에서 시장으로 유입된 카 오디오 제품들은 쉽게 추산하기 어려울 만큼 많았다. 특히 국내 시장은 트렌드 속도가 다른 나라에 비해 빠른 편이라 신제품과 인기 제품의 출몰이 잦았다. 인기 제품은 시장의 성격을 파악하는데 좋은 자료가 된다.

그러나 국내는 아직 시장이 체계화되지 못해 인기제품에 대해 공식적으로 정확한 통계나 집계가 이뤄진 적이 아직 없다. 물론 최근에는 인터넷 쇼핑몰이 활성화되어 각 사이트 자체적으로 판매 순위가 매겨지기도 하지만 말 그대로 최근의 일이다.

이번에 소개되는 설문내용은 월간 '카오디오'에서 주관하여 실시한 것으로 설문내용은 헤드유닛과 스피커, 앰프, 서브우퍼 분야별로 과거 10년을 통틀어 국내에서 가장 사랑 받았던 제품 10가지를 선정하는 것. 이때 대리점 관계나 개인의 취향은 최대한 배제시키는 것을 조건으로 했다. 대상은 전국 카 오디오 전문 인스톨러들 40여 명으로 모두 카 오디오에 관심을 갖거나 업계에 몸담은 지 10년 이상 된 사람들이다.

결과는 비교적 보편 타당한 제품들이 집계되었지만 순위권 안팎의 차가 대단히 극소했다. 또 의도적이지는 않았지만 대리점 관계가 어느 정도 작용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공식적인 자료가 아닌, 기억에 의존하다보니 초기보다는 현재에 가까운 제품들이 더 많았다.

극소한 표 차! 혼전에 혼전을 거듭

결과를 소개하기에 앞서 다시한번 강조하고 싶은 것은 이번 집계가 공식화 할 수 있는 절대적인 사실이 분명 아니며 제품의 우위를 가리기 위함도 아니라는 것이다. 다만 최대한 객관성을 유지하면서 지난 10년 동안 국내 시장에서 어느정도 자취를 남긴 제품들의 면면을 살펴보면서 그 속에서 국내 마니아들의 취향과 개성을 유추해 보기 위함이다.

헤드유닛 분야에서 선전한 브랜드는 클라리온과 나카미치, 파이오니아, 알파인, 데논, 매킨토시, 소니 등이다. 켄우드와 파나소닉 등은 브랜드 선택도가 높았지만 제품이 다양하게 분산되어 순위권에 들 수 없었다.

스피커 분야는 포칼과 이톤, 보스톤, MB 쿼트, 다인오디오, 인피니티, 스캔스픽, a/d/s/ 등이 높은 점수를 얻었다. 그 외 AVI와 줄리아드, 데이비스, 모렐 등이 각축을 벌였다.

앰프 분야는 락포드 포스게이트, 브락스, 크로스파이어, 사운드스트림, 오디슨, 매킨토시, 엑스탄트, 자프코, PPI가 인기를 얻었다. 그 외 오라이온, 어비스, 피닉스골드 등과 여러 국산 앰프들의 활약이 눈에 띄었다. 앰프의 경우는 후보가 가장 많았던 분야다.

마지막으로 서브우퍼는 락포드 포스게이트와 설윈베가, 디지털 디자인, 크로스파이어, 킥커, JBL, 포칼, 트레오, Mmats, 오라이온 등이 선정되었으며 그 외 페이즈 리니어와 보스톤, MTX, 엑스탄트 등이 순위를 다퉜다. 서브우퍼의 경우 SPL의 높은 인기를 반영하듯 몬스터급 서브우퍼들이 높은 지지를 얻었다.

=======================================


Head Units 부문

Alpine CDA-7990
알파인의 최대 역작 F1 시스템의 메인유닛. 차량에서 최적의 사운드 구현을 위해 개발되었다. 특징은 디스토션이 0.002%, 다이내믹 레인지 100dB, S/N비 120dB, 채널분리도 105dB, CD Text/CD Text 디스플레이, 버-브라운(Bur-Brown) K-Grade 96kHz/24-Bit Sign Magnitude DAC 채용, 24-Bit 버-브라운(Bur-Brown) 디지털 필터 채용, 최정밀의 DT/ST 트랜스포트 메커니즘 채용, STAR 회로 PCB 디자인, Versatile-Link(AUX), 4 Volt 프리아웃 & DC-DC 컨버터, 3 프리아웃s 등을 적용했다.

Clarion DRX9255
지금까지도 카 오디오 헤드유닛 분야에서 명기라고 불리우는 하이 퀄리티 유닛. 싱글 CD 헤드유닛인 DRX9255는 1996년 첫 생산 이후 DRX9255EX, DRX9255EXL로 약간의 성능을 개선하면서 지금에 이르기까지 마니아들의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는 기종이다.

블루/레드 형광 디스플레이, 듀얼 20비트 버-브라운(Bur-Brown) D/A 컨버터 채용, 4V 4 채널 로우 라인 출력, 9 Volts with Bass/Treble Boosted, CD 체인져용 광케이블 입력단자 등을 적용했다.

Clarion HX-D1
클라리온 HX-D1은 DRX9255의 상급 모델이다. 흔히 DRX-9255의 페이스 리프트를 거친 후속 모델로 알고 있지만, 분명 소리를 위한 그 기능은 한 수위다. 새로운 신기술로 하이 퀄리티 디스크포맷인 HDCD에 대응, D/A 컨버터에는 버-브라운(Bur-Brown)소자가 사용된 24비트를 채용하고 있다.

우선 퀄리티를 결정하는 키 디바이스는 PMD200, 홈용의 제품에도 아직 거의 사용되지 않은 최신 성능의 HDCD 칩, 그리고 버-브라운(Bur-Brown)의 PCM1704 멀티 비트형의 고음질 D/A 컨버터로는 거의 유일한 존재로 타사의 하이엔드 헤드유닛에도 채용된 칩(좌우독립으로 2개가 사용됨), 4N그레이드의 고순도 OFC가 채용된 옥스단, 그리고 화제의 Dither 기능이 있다.

Denon DCT-A1
DCT-A1은 데논에서 출시하고 있는 CD 소스 유닛라인 중 플래그십 기종으로 데논이 자랑하는 AL 24 프로세싱 메커니즘을 전격적으로 채용하고 있다. 또한 DAC 섹션에는 하이비트 LSI로서는 톱 클래스에 랭크되어 있는 버-브라운(Bur-Brown)사의 24bit 지원 PCM 1704와 OP 앰프를 탑재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그린과 앰버톤의 일루미네이션이 제공된다. LCD의 기능문자는 메트릭스 타입, 프리아웃 출력은 프론트 1계통(L/R), 리어 1계통(L/R)의 독립적인 RCA 라인을 소유하고 있으며, 단자부(옥스)는 디지털, 아날로그 각 1계통씩 소유한다. 밸런스드 전송 출력단자를 별도로 제공하고 8V의 프리아웃 출력을 구현할 수 있다.

Mcintosh MX406
클래식한 디자인의 매킨토시는 홈 오디오에서 먼저 명성은 얻은 메이커로 카 오디오에서도 홈 못지 않은 인기를 얻었다. MX406은 AM/FM/CD 플레이어로체인저 컨트롤 센터와 듀얼 20-Bit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로터리 볼륨 컨트롤, 아날로그 베이스와 트레블 컨트롤, CD 체인저를 위한 Fiber Optic Input 채용, 4V 라인 레벨 아웃 풋(4 채널), 2채널 RCA 옥스 인풋, 매킨토시 특유의 블루 일루미네이션 디스플레이를 채용했다.


Nakamichi CD-45Z
나카미치 역시 헤드유닛 분야에서 하이엔드를 대변하는 네임 벨류를 갖고 있다. CD-45Z는 전체 라인업중 중간 그레이드에 속해 있는 모델로 고음질을 추구하는 중상급 마니아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다.

43W 4채널 4옴 자출력 앰프를 내장하고 로터리 엔코더 타입 볼륨 컨트롤과 전면부 탈착 가능(도난방지), CD 체인저 컨트롤, PLL 튜너, 18FM/12AM, PS Scan/Auto Mem/Auto DX-local, 라우드니스, 오디오 뮤트, 서브우퍼 프리앰프 아웃풋(RCA)-서브우퍼 프리아웃, 옥스 인풋(RCA)-외부기기 RCA 지원, 4채널 4볼트 프리아웃(RCA), CD 체인저(RCA), 8타임 오버샘플링, 디지털 필터 D/A 컨버터 타입 20-bit D/A 컨버터 등을 적용했다.

Nakamichi CD-700
하이엔드 CD 싱글 리시버로 고음질을 추구하는 마니아용으로 나카미치의의 독창적 오디오 기술로 완성되었다. CD700은 지금까지 나카미치가 고집해온 컨셉트와는 다소 다른 면모를 보여준다. 푸시-액세스(Push-Access) 타입의 톤 컨트롤 기능과 LCD 디스플레이, UH(Ultra-High)급 24bit D/A 컨버터, DC-DC 컨버터, 3-D서스펜션 등을 채용. 그 외 베이스(20Hz/±12dB), 미드(1kHz/±9dB), 트레블(20kHz/±6dB)의 3밴드 타입의 톤 컨트롤, 서브우퍼 전용 프리아웃 단, 옥스(Aux) 입력단 등을 적용했다. 튜너부는 총 18개의 FM, 12개의 AM 메모리 선국이 가능하며, 서브를 포함하는 프론트, 리어 각 2계통의 출력단을 구비하고 있다.

Pioneer DEX-P1
파이오니아 헤드유닛중 가장 뛰어난 음질을 자랑하는 하이엔드급 제품이다. 무출력 CD 튜너로 오디오 신호를 정밀도가 높은 디지털 신호로 저송하고 처리하는 디지털 하이비트 디자인 컨셉트에 기초한 디지털 기술을 적용했다. 오토 플랩 페이스, 하이비트 레가토 링크 컨버전, 3 RCA 프리아웃(프론트, 리어, 서브우퍼), 13밴드 스펙트럼 어날라이저, 24 스테이션(18FM/6AM) 프리센이 탑재되었다.

Pioneer FH-8800
기능 못지않게 화려하고 세련된 디자인이 두드러져 인기 있었던 모델이다. 이 제품은 은빛 메탈 재질과 파란색 디스플레이가 절묘하게 어우러져 가장 독창적인 이미지를 연출하고 있다. CD와 Tape를 재생하고 CD-R과 CD-RW까지 가능하며 모스펫 45W×4채널의 자체출력이다. 프론트 패널은 전자동식 3단계로 앵글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에 13밴드 디지털 그래픽 이퀄라이저와 오토 EQ, 1모드 프리셋 이퀄라이저, 2모드 커스텀 프리셋 이퀄라이저, 그리고 노이즈를 확실하게 감소시켜주는 Dolby B NR 기능을 적용하고 있고 18FM/6AM 프리셋과 프론트와 리어 또는 프론트와 서브에 연결할 수 있는 2RCA 프리아웃 단자, 그리고 멀티 CD 컨트롤도 내장하고 있다.

Sony CDX-C90
C90은 소니의 하이 퀄리티 이미지 메이킹을 위한 대표적 싱글 CD 소스 유닛. 20비트 하이 퍼포먼스 D/A 컨버터가 내장된 헤드유닛이다. 다양한 디지털 필터, 금도금된 4V 프리아웃×2, 금곧금된 서브아웃×1, 옵티컬 디지털 아웃, 20FM/10AM 프리셋 메모리, 스테이션 메모, BTM(베스트 튜닝 메모리), 개선된 ESP 등이 적용되어 있다.

또한 CD TEXT, Program/Repeat/Shuffle Play, CD/MD 체인저 컨트롤, 2가지 컬러 EL 디스플레이, 플립아웃 방식 탈착식 프론트 패널, 유선 리모컨(RM-X90), 무선 리모컨(RM-X9) 등이 포함되어 있다.

Speakers 부문

a/d/s/ 236/235is
236is는 6.5인치 2웨이 스피커. 1인치 소프트 돔 트위터, 저음 특성을 향상시킨 Ultramid 인젝션 몰드 프레임, 미네랄 성분이 강화된 코폴리머 콘으로 구성된 6.5인치 스피커로 a/d/s/만의 풍부한 풀레인지 사운드를 선사한다. 허용 앰프 출력 15∼150W, 감도 91dB, 재생주파수 대역 40Hz∼22kHz다.
235is는 5.25인치 2웨이 스피커. 허용입력 20∼150W, 감도 90dB, 재생 주파수대역 48Hz∼22,000Hz다.

Boston Pro Series
25년의 이상의 스피커 역사와 독특한 생산철학을 가진 보스톤 어쿠스틱스는 음악 장르나 청취자의 수준에 구애받지 않고 높은 만족도를 제공하는 스피커를 만들고자 노력한다. 국내에서는 92년부터 선보였다. 프로 시리즈는 6.5 3웨이, 6.5 2웨이, 5.5 2웨이, 4.5 2웨이로 구성된다. 6.5 3웨이 스피커는 코 폴리머 콘을 적용한 6인치 우퍼와 4인치 미드레인지, 1인치 알루미늄 돔 트위터, 패시브 크로스오버 네트워크로 이뤄졌다. Axis-, Flush-, Surface-, Angle-Mount 트위터 마운트 키트를 채용했다.

Dynaudio 220/240
다인 오디오는 20여년 이상의 역사동안 자연스러운 소리를 재생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인 전문 회사다. 86차례의 테스트를 거쳐 만들기 때문에 기능적인 면과 음질면 모두에서 뛰어나다.

2웨이 컴포넌트 시스템. 220은 6인치 MW150 우퍼와 1인치 MD100 소프트 돔 트위터이고 2웨이 크로스오버를 두었다. 정격입력 RMS 100W, 감도 90dB, 재생주파수대역 65Hz∼25kHz이다. 시스템 240은 7인치 MW160 우퍼와 1인치 MD100 소프트 돔 트위터이고 2웨이 크로스오버를 두었다. 정격입력 RMS 120W, 감도 90dB, 재생주파수대역 55Hz∼25kHz이다.

Eton Pro 160
독일 해군과 나사에서 지정해 쓸 정도로 뛰어난 내구성과 고성능을 지닌 모델이다. Pro 160은 팝라인의 프로 시리즈로 3/4인치 트위터와 6.5인치 우퍼/미드레인지로 이뤄졌다. 페이퍼 콘 재질로 임피던스 4Ω, 출력 70/100W, 음압 88dB, 재생 주파수대역 43∼25,000Hz, 크로스오버 주파수 3,000Hz, 마운팅 깊이 65mm, 아웃터 다이나 미터 165mm, 컷 아웃 다이아미터 144mm다.

Focal 165K2 Series
프랑스의 자존심과 뛰어난 기술력으로 세계적 명성을 얻고 있는 포칼 스피커. 6.5인치 컴포넌트 스피커. 감도 92dB, RMS 출력 100W, 최대 출력 200W, 재생 주파수대역 60∼20,000W, 165mm(6.5인치) 미드베이스, 40mm(1.4인치) 보이스 코일, 100mm(4인치) 마그네트, TN 45 트위터, 2웨이 세러페이트 하이패스, 크로스오버 18dB/Oct.(3.5kHz), 트위터 레벨 조절가능, 최대 파워 핸들링 200W, 노멀 파워 핸들링 100W, 감도(2.8V/1m) 92dB 등을 적용했다.

Focal 165W3
포칼의 명성을 국내에 깊게 자리잡게 만든 제품이다. 165W의 경우 더욱 생생한 미드대역인 보컬 대역을 살려 음장의 밸런스가 잘 맞는 제품으로 인정받고 있다. 6.5인치 우퍼와 4인치 미드레인지, 2인치 티타늄 미니 TLR 트위터로 구성된 3웨이 스피커 시스템. 2웨이는 우퍼와 트위터로만 구성된다. 감도 2.8V(92.5 dB/1m), 3웨이 크로스오버 18dB/oct 300Hz/3.5Hz, 최대입력 200W, 정격입력 100W, 재생주파수 대역 45Hz∼22kHz 등을 적용했다.

Infinity Kappa Perfect 6.1
하이 테크놀러지와 퍼포먼스, 디자인의 조화로 탄생한 30여년 역사의 오디오 전문 브랜드이다. 초기엔 홈오디오 업체로 문을 열었지만, 현재 KAPPA PERFECT, KAPPA, REFERENCE, 3가지 시리즈의 고품질 카 스피커로 세계적으로 많은 마니아층을 확보하고 있다. RMS 파워 핸들링 100W, 최대 파워 핸들링 400W, 재생주파수 대역(±3dB) 75Hz∼23kHz, 감도 90dB, 임피던스 4Ω, 크로스오버 주파수 3.5kHz, 24dB/oct, 마운팅 깊이 2-3/4" Perfect 미드우퍼, 1인치 퍼펙트 트위터로 구성되었다.

MB Quarts QSD 216
Q시리즈는 MB쿼트를 대표하는 모델로 하이엔드 스피커의 새장을 여는 제품이다. 작으면서도 강하고 독특한 네오디뮴 자석을 갖추고 있다. 고음질 실현을 원하는 마니아들의 욕구에 충분히 부합할 수 있는 하이 클래스 제품. 임피던스 4Ω, 재생주파수 대역 35∼32,000W, 감도 85.5dB, 파워범위 90∼170W, 크로스오버 주파수 2,400Hz, QTD 25트위터 1인치(25mm) Q 시리즈 Neo/AI 트위터, QWD 160 미드레인지 6.5인치(160mm) QSD 시리즈 미드레인지 드라이버, QXD 216 Xover BTT Musicomp Crossover For 25NX 트위터 등을 적용했다.

Scan Speak 8545
50여년의 전통을 자랑하는 덴마크의 정통 하이엔드 스피커 전문 브랜드인 스캔스픽. 노르웨이의 시어스사와 함께 세계 3위권 내에 상정된 바 있으며 현재 비파 스피커도 선보이고 있다. 스캔스픽 유닛들은 고밀도 계층적 구조의 다이캐스팅, 100% 수공에 의한 작업 과정, 초정밀 테스트를 통해 만들어지는데 95년과 97년에는 전 유럽 스피커에서 가장 적은 오차율을 지닌 유닛으로 선정된 바 있다. 스캔스픽의 자연스럽고 풍부한 사운드는 하이엔드 스피커만을 고집하는 마니아들의 욕구를 채워주기 충분하다. 7인치 우퍼. 8545는 평균 임피던스 4옴, 평균 파워 100W, 재생주파수대역 29Hz∼4kHz이고 감도는 89dB다.

Scan Speak 9900
자연스럽고 청명한 고역을 실현한는 스캔스픽의 역작. 1인치 텍서블 레볼레이터 트위터로 재생주파수 대역은 2kHz∼30kHz이지만 700Hz부터 플랫하게 이어지는 주파수 특성이 탁월하다. 최저 공진 주파수는 500Hz이며, 음압은 91dB. 13cm의 넓직하고 우묵하게 들어간 전면 플레이트가 유닛의 기품을 말해준다. 임피던스 8Ω, 2.83V/M 91dB, Fs(Hz) 500, VC dia. 28mm, 파워 225W, 스페션 파츠 SD-2, LCD, NRC, CDD 등을 적용한다.

AMP 부문

Audison VRX Series
이탈리아의 유럽풍 고급 브랜드. 하이파이 전문가들이 모여 그 기술력을 카 오디오에 접목해 완성한 것이 바로 오디슨 제품이다. VRX 시리즈는 가장 인기를 끌었던 시리즈. 전 모델에 싱크로 PWM 파워 서플라이, 오픈 데크 컨스트럭션, 즉각적인 주파수 반응, DVP&OCN 서킷 등이 적용되어 있다. 제품 종류는 VRx1.500EX, VRx4.300EX, VRx2.250EX, VRx4.300EX 등이 있다.

이 가운데 VRx1.500EX는 1채널 모노 앰프로 최대 2,000W의 엄청난 출력을 자강한다. 정격출력@12V 500W×1Ch, @13.8V 1채널모드 560W(4Ω), 1080W(2Ω), 2,000W(1Ω)이다. 디스토션 THD(1kHz) 0.02%, 신호대 잡음비 100dB이고, 하이 로우인풋 감도 0.15∼1.5/ 0.5∼5V RMS, 모노 브릿지 로드 임피던스 8-4-2-1Ω이다.

Brax X2000/X2400
하이엔드 앰프 분야에서 정상급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한 브락스. 국내 카 오디오 마나이들 사이에서 독보적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브락스 X2000 2채널 앰프로 4Ω시 2Ch×190W, 2Ω시 2Ch×370W, 1Ω시 2Ch×550W, 브릿지 4Ω시 1Ch×750W, 브릿지 2Ω시 1Ch×1,115W, T.H.D <0.002%, 재생주파수 대역 20Hz∼20kHz, 인풋감도 180mV∼4,8V 등을 적용했다. X2400은 4채널 앰프다. 4Ω시 4Ch×100W, 2Ω시 4Ch×185W, 브릿지 4Ω 2Ch×400W, T.H.D><0,002%, 재생주파수 대역 20Hz∼20kHz 등을 적용했다.>

PPI PC Series
PC4200.2, PC4400.2, PC4800.2 그리고 PC6600.2는 다양한 3웨이 일렉트로닉 크로스오버가 내장되었다. 프론트와 리어 채널에 20Hz∼5,000Hz까지의 다양한 재생주파수 레인지와 함께 12dB/Oct. 하이패스 크로스오버가 포함되었으며 PC4200.2, Pc4400.2 그리고 PC4800.2의 리어 채널에는 다양한 24dB/Oct. 로우패스가 허용된다. 24dB/Oct. 로우패스 필터는 PC6600.2의 서브우퍼 채널에 적용된 반면에 PC4200.2, PC4400.2 그리고 PC4800.2의 크로스오버 섹션은 최적의 적응력과 24dB/Oct. 로우패스 필터라인 레벨 아웃풋을 포함하고 있다.

Xtant 2200ix
엑스탄트의 IX 시리즈는 하이퍼포먼스 앰프다. 최대의 만족과 독특한 디자인, 그리고 사운드 퀄리티에 있어 효과를 주는 우아함을 겸비했다. 이 모델은 출시 당시 유럽 각종 전문지들로부터 호평을 받았으며 국내에서도 2000년대 초 큰 인기를 끌었다. 4Ω시 100W×2Ch, 2Ω시 200W×2Ch이며 크로스오버 슬로프 및 재생주파수는 18dB/90Hz이다. 선택사양으로 PQM 1밴드 파라메틱 EQ와 LFG45 베니스 강화, RGM1 리모트 볼륨 컨트롤을 사용하면 더욱더 높은 성능을 맛볼 수 있다.
Zapco C2K Series
투명한 사운드, 뛰어난 임장감과 분리도, 음의 정교함과 파워를 동시에 느낄 수 있다. 67년에 설립된 미국 브랜드로 전통과 오랜 노하우를 바탕으로 앰프와 크로스오버, EQ 등의 프로세서만 갖추고 있다.

C2k 2.0X는 4Ω시 2Ch×50W, 2Ω시 2Ch×100W, 1Ω시 2Ch×200W, 브릿지 4Ω시 1Ch×200W, 브릿지 2Ω시 1Ch×400W, T.H.D. + Noise: <0.02%, 재생주파수 대역 20Hz∼20kHz; +0 dB/-0.35 dB, S/N비>100dB, 트랜지션트 디스토션 <0.01%, 댐핑 펙터>900, 인풋감도 1-4V 혹은 4-16V 등을 적용했다. 이밖에 C2k 2.5X, C2k 3.0X, C2k 4.0X, C2k 6.0X 등이 있다.

Subwoofers 부문

Cerwin Vega Stroker Series
스트로커 시리즈는 12인치, 15인치, 18인치 등 3가지가 있다. RMS 1,000W의 12인치, 1,200W의 15인치, 1,600W의 18인치. 3모델 모두 싱글, 또는 듀얼 보이스 코일, 평균 임피던스 싱글-4Ω, 듀얼 (2)4Ω 또는, (1)2Ω, 또는 (1)8Ω이다. 보이스 코일 다이아미터 3인치이다. Stroker 12는 12인치 카 서브우퍼. 재생주파수대역 40∼200Hz, 출력 싱글-1,000W, 듀얼-보이스 코일 당 500W, 감도 92dB이다. Stroker 15는 15인치 카 서브우퍼. 재생주파수대역 30∼200Hz, 출력 싱글-1,200W, 듀얼-보이스 코일 당 600W, 감도 95dB이다. STROKER 18은 18인치 카 서브우퍼. 재생주파수대역 30∼200Hz, 출력 싱글-1,600W, 듀얼-보이스 코일 당 800W, 감도 96dB이다.

Degital Design 9000 Series
디지털 디자인이 추구하는 것은 오로지 ‘좋은 소리의 창조’이다. 특히 워너 브라더스 스튜디오, 폭스 스튜디오, 람보르기니 박물관, 애너하임 경기장 등에 기기가 설치되어 그 명성이 높다.
9000 시리즈는 230 온스 마그네트, 허용입력 1,500W의 초강력 우퍼이다. 고효율, 고출력을 표방하며 그 전 모델보다 훨씬 향상된 성능을 자랑한다. 짧은 갭과 긴 코일 디자인은 협소한 자동차 공간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고출력을 제공하는데 적합하다. 그 전까지 9500 시리즈가 보여왔던 능력을 훨씬 능가할 정도. 9000 시리즈에 대한 이러한 평가는 세계적인 SPL 드래그 레이싱 경기에서 여러 번 우승컵을 차지함으로써 확실하게 입증되고 있다.

Focal 33WX/38WX
포칼 유토피아 라인의 명성을 그대로 옮겨 놓은 서브우퍼의 걸작. 힘과 퀄리티를 두루 겸비한 대표적 서브우퍼다. 포칼 33WX는 13인치 제품. 감도 2.8v (94.4dB/1m), 최대입력 700W, 정격입력 350W, 재생주파수 대역 30Hz∼1kHz이다. 포칼 38WX는 15인치 제품. 감도 2.8v (97dB/1m), 최대입력 900W, 정격입력 450W, 재생주파수 대역 25Hz∼1kHz이다.

Kicker Solobaric Series
다이 캐스트 알루미늄 바스켓은 효율적인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특별히 설계된 것이다. 모델 종류는 8인치, 10인치, 12인치, 15인치 네가지 모델이 있으며 모두 듀얼 보이스 코일의 2Ω 혹은 4Ω DVC를 채택했다. S8L7은 RMS 450W, 감도 85dB, 재생주파수 대역 28∼100Hz이며, S10L7은 RMS 600W, 감도 88dB, 재생주파수 대역 24∼100Hz, S12L7은 RMS 750W, 감도 89dB, 재생주파수 대역 20∼100Hz, S15L7은 RMS 1,000W, 감도 90dB, 재생주파수 대역 18∼100Hz를 나타낸다.

Mmats Juggernaut
총 4가지 모델로 10, 12, 15, 18인치. 거대한 캐스트 프레임에 무식할 정도로 육중한 디자인을 가졌다. 이중 구조의 마그네트는 무게가 260온스(약 7.4kg)에 달하며 1.25인치 두께의 크롬 뒤판은 원활한 쿨링을 위해 구멍이 있다. 보이스 코일은 길이 1.25인치에 직경 3인치, 작은 오버행(overhang)과 토널 애큐러시로 과도전류가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청취자로 하여금 입이 벌어질 정도의 즐거움과 동시에 구역질나는 느낌의 록 스타일 킥드럼을 한 레벨에서 충분히 묘사할 수 있는 서브우퍼이다. 임피던스 커브는 최대 13Ω과 최소 1.26Ω, 임피던스 평균치는 4.4Ω 테스트 측정시 RMS 1,200W이다.

 
[이 게시물은 아르고님에 의해 2009-04-13 00:49:55 자유게시판에서 이동 됨]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