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시스템 완성을 위한 전원부 보강 SPL 시스템에 사용되는 보조기기들
SPL 시스템을 올바르게 완성하기 위한 체계적인 튜닝 기법. 이번 달은 시스템 완성을 위한 전원 부 보강 기기들에 관해 알아보자. 카 오디오 시스템의 안정성을 위해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사항이 전원 부 파트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원부를 보강하기 위해 배터리의 교환 및 커패시터 장착 그리고 얼터내이터의 업그레이드가 있다. 그렇다면 이 기기들의 용도와 역할을 알아보자.
배터리의 업그레이드 및 추가 장착 SPL대회에 출전한 차량들을 보면 가끔씩 여러 개의 배터리가 앰프주변에 장착된 것을 볼수 있다. 이 배터리들은 전원보강용으로 사용된 것들인데, 단순히 1, 2개가 아닌 10여개이상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이유는 약 2-3분 동안에 최대의 출력을 내기 위해 큰 용량의 에너지원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보통의 카 오디오 시스템에서는 이렇게 여러 개의 배터리를 사용 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 하지만 대회 출전용 시스템을 갖춘 차량은 일반 운행용과는 달리 한순간에 얼마나 높은 음압을 최대로 낼 수 있는 지를 겨루는 일이라서 가능한 많은 에너지를 저장해놓을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 배터리들은 순간적으로 공급 가능한 전류용량이 큰 것일수록 좋다. 가끔씩은 광고용 홍보자료로 쓰이기도 하는 이 수치에서 실제로 필요한 것은 순간 최대 방전전류의 크기이다. 매터리를 선택할 때 이 수치를 비교하여 그 값이 큰 것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배터리의 종류와 사용 용도에 따라 다르지만 그 값이 큰 것들은 약 1,000 암페어 정도 되는 것들도 있다. 이런 종류의 배터리는 일반 카 오디오용으로 사용 시 보조 배터리로 사용해도 무방할 것이다. 그러나 시중에 판매되는 보통의 배터리는 그 값이 500 암페어 이하인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보조 배터리로 사용하기에는 어울리지 않을 것이다. 이렇게 큰 용량의 보조 배터리는 충전할 때 얼터네이터의 과부하를 일으킬 수도 있기 때문에 그 사용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대회용 보조 배터리들은 시합에 나가기 전에 충분한 충전시간을 갖고서 만 충전상태를 유지한다면 훨씬 더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직까지 국내 대회에서는 그 비용 대 효용 가치를 충분히 따지면서 대회를 치루지 못한 관계로 경제적인 것과 그 효율을 충분히 평가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다. 그러나 여러 대의 배터리는 SPL대회용 오디오 시스템에서는 충분히 보조적인 역할을 해내고 있음은 분명하다. 국내에는 오디오용으로 다양한 배터리들이 수입되고있는데, 가장 흔히 사용되고 알려진 것이 ‘옵티마’ 라는 배터리와 ‘SVR’이라는 배터리이다. SVR 배터리의 구체적인 성능은 제작사로부터 공개가 안되어 잘 알 수 없지만 모두 드라이 셀 구조의 배터리로서
수명이 길다는 것은 확실하다. 옵티마 배터리는 그 종류에 따라 옐로우 탑과 레드 탑이 나뉘는데 레드 탑은 순간 전류 방전 용량이 약 1,000 암페어이고 옐로우 탑은 약 600 암페아 정도 되기 때문에 옵티마 배터리를 보조 배터리로 사용할 때는 레드 탑을 사용하는 것이 훨씬 유리할 것이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이와는 반대로 옐로우 탑을 보조 배터리로 사용한다. 높은 순간 방전 용량에 따른 충전 문제 때문에 레드 탑을 사용하지 않지만 실은 보조 배터리로는 레드 탑이 훨씬더 효과적이다. 그러나 메인 배터리로는 옐로우 탑이 훨씬 유리하다. 이는 충전시간이 좀더 길기는 하지만 더 많은 용량의 전류를 충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필자는 배터리의 사용 용도에 따라서 어느 것이 유리한지를 골라서 권하고 있다. 드라이 셀 배터리의 또 하나의 장점은 충전 시간이 일반 배터리에 비해 짧은 편이고 방전 용량도 훨씬 많기 때문에 고가의 가격이지만 드라이 셀 배터리를 권하고 있다.
얼터네이터 모든 차량에는 발전기가 달려 있어서 자체적으로 전기를 생산하고 있는데 이러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얼터네이터이다. 이것은 엔진에 벨트를 연결하여 엔진이 돌아갈 때 함께 이 얼터네이터를 돌아가게 하여 발전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발생된 전기는 AC전기인데, 발전기안에 정류기가 들어있어서 여기서 정류를 한 다음 배터리에서 DC전기로 바뀌는 것이다. SPL대회용 차량에는 배터리를 많이 장착하는 것처럼 얼터네이터도 가능한 큰 용량의 제품을 사용한다. 일반 자동차의 제너레이터 용량은 약 70 암페어에서 130 암페어 정도 사이의 것들인데 비해서 대회용 차량에 부착되는 것들은 약 160∼230 암페어 정도의 것들이 사용되고 있다. 사람들에 따라서는 이 용량을 개조하는 방법으로 그 용량을 훨씬 키운 것들이기 때문에 그 발전용량이 일반차량에 비해서는 훨씬 큰 것들이다.
그러나 대회용 차량들은 이 발전 용량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여러 개의 보조 배터리를 사용하고있는 실정이다. 앞으로 전기 자동차가 나오게되면 이런 발전기의 형태에 많은 변화가 예상되지만 아직까지는 이런 방법으로 대회를 치르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차량에 오디오를 장착할 경우에도 반드시 염두에 두어야 할 점은 자신의 차량에 달려있는 얼터네이터의 용량이 얼마정도인가를 확인해보고 좀더 큰 용량의 얼터네이터를 장착할 수 있는지를 체크해보는 것이 자신의 오디오 시스템 구동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배터리를 아무리 좋은 것을 사용한다해도 제너레이터에서 발전해주는 전류 용량이 부족하다면 배터리 성능을 충분히 활용한다고 볼 수 없는 일이다. 발전기에서 더 많은 전류를 생성 해낼 때 배터리 성능이 좋은 것들이 더 좋은 성능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는 길이기 때문이다.
커패시터 커패시터 또한 SPL대회용 차량에 부착되는 전기보조장치이다. 커패시터의 사용 개수도 배터리 이상 된다. 아마 10개 혹은 20여 개를 나란히 부착시킨 것들을 보았을 것이다. 커패시터는 배터리와 비교해서 전기의 충전, 방전이 훨씬 빠르고 그 양이 소량이다. 그러나 그 소량의 전류 용량이지만 순간의 전기보조장치로는 그 역할을 충분히 해낸다. 그러나 수많은 커패시터를 병렬로 연결해놓은 것은 다분히 광고 효과 측면이 있다고 본다. 그 용량이 클수록 그 효과는 크게 나타나는 건 사실이지만 어느 정도까지 그 용량을 크게 해야 하는 것인가는 아직까지 밝혀진 게 없다. 최근에는 하나의 커패시터로서 500만 마이크로 내지 그 이상의 큰 용량의 커패시터가 나오고있는데, 중요한 것은 그 커패시터들이 앰프가 가깝게 연결될수록 더 큰 효과를 낸다는 것이다. 그래서 일반적인 카오디오 시스템을 설계 할 때는 앰프 하나 당 커패시터 하나를 연결하되, 앰프 전원 선에 가장 가까이 장착하고 있다. 또한 커패시터 용량이 어느 정도 되는 것이 효과적이냐는 권하는 사람들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고, 이론적으로는 그 용량이 큰 것이 더 좋다고 하지만 그 용량이 커지면 그만큼 더 비싼 제품들이기에 경제적인 면을 고려할 때 앰프 하나 당 사용하는 하나의 커패시터는 100만 내지 200만 마이크로의 제품이면 충분하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다만 커패시터의 질을 따져 볼 필요가 있다. 우선 ‘리키지 커런트(누설전류)’가 적은 것이 좋다. 이것이 많으면 그 성능이 현저히 저하되고 충전용량이나 방전용량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보조장치로 전압 표시기가 있는데, 현재 커패시터에 걸리는 전압이 몇 볼트인가를 확인한다는 것은 앰프에 공급되는 전압이 충분한지 어떤지를 손쉽게 알 수 있어서 사용자로서는 전압 디스플레이 장치가 꽤 유용하게 사용된다. 커패시터 메이커들은 매우 많고, 그 종류도 다양하게 나오고있으나 가장 안정적으로 사용되고, 그 수명이나 불량률 등에서 우수한 제품으로는 ‘브락스’제품이라 할 수 있다. 브락스 제품으로는 100만 마이크로와 200만 마이크로 제품 등 2가지가 나오고 있다. 다만 가격이 다른 제품에 비해 높아서 경제적인 부담이 따르고 있다.
.그 밖의 전원 보강 기기
·아이솔래이터 전원보완을 위해 배터리 추가시 자동차의 전원과 새로 장착한 배터리에서 생기는 역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시키는 회로이다. 95A는 소형차용, 130A는 중·대형차용, 240A는 카 오디오 데모시스템용
·아큐볼트 배터리가 9.5V 이하로 떨어졌을 때도 설정 수치인 13.5V∼16.25V 사이에서 지정한 전압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제품. 능동적으로 전압을 증가시켜 전력을 필요로하는 부분에 일정하게 공급, 오디오 기기들이 최대 성능을 발휘하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불안정한 전압에 의해 손상될 수 있는 오디오 시스템을 보호하며 초당 6만번의 교정 및 여과된 고품질 전력이 보다 향상된 음질을 재생해 낸다.
| | | 출처: 카오디오잡지에서 발췌했습니다. | |
[이 게시물은 아르고님에 의해 2009-02-15 21:59:32 자유게시판에서 복사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