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스오버 이야기 2

아르고 0 4423 0 0

출처: Club ES카오디오

크로스오버 이야기 2

크로스오버 관련 전반적인 구성과 왜 필요한가를 알아보기 위해서 여러가지 예를 들어가면서
설명하고있읍니다만 쉽지는 않군요.

지난번의 로우패스필터에 이어 이번에는 하이패스필터(HIGH PASS FILTER)에 대해서 같이
공부해보고자합니다.

미드우퍼와 써브우퍼의 상관관계를 조금더 설명하고 그 다음 예기를 진행해 보기로하구요.

미드우퍼에서 나오는 베이스음의 음색과 써브우퍼에서 나오는 베이스음의 음색이 비슷해야만
우퍼소리가 앞에서 나오는것처럼 사람의 귀를 속일수있다고 했는데 이말은 사람의 창각특성이
높은주파수에서는 거리감을 잘 감지하는데
낮은주파수에서는 거리감을 감지하지못하는것을 이용하여 미드우퍼와 서브우퍼간의 거리가
약간은 떨어저있다고 하더라도 두개의 스피커에서 동시에 같은소리가 나온다면
커다란 우퍼스피커에서 나오는 풍부한 베이스음과 에너지감이 앞에 있는 미드우퍼에서
나오는것처럼 들리기도하고 써브 우퍼소리의 강약을 조절하면 약간 더 앞으로 나가게 할수도
있는것입니다.

소리의 특성을 색깔로 표현하는것은 이 방법이 음장감이나 스테이지감 명료도나 원근감등
전반적인 소리의 성질이나 시스템의 특징을 설명하기가 쉽기 때문에 임의적으로 제가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해서 로우패스필터에 관한 여러가지 사항들을 설명해보았읍니다만
이번에는 하이패스필터에 대해서 예기를 시작해보도록하겠읍니다.

설정해놓은 주파수의 아랬쪽 저음은 통과하지못하고 윗부분의 고음만 통과하게 만드는장치인
하이패스필터는 패시브 네트워크라는 기계적인 장치와 OP 앰프등을 사용하는
전자식 크로스오버라는 두가지 종류로 구별됩니다.

페시브 네트워크는 코일과 콘덴서등 고정값을 자지는 소자들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자유롭게 조정이 안되는 불편함이 따르지만 가격이 저렴하게 구성이 가능하고 만들기가 쉽고
장치가 간단한 잇점이 있읍니다.

하지만 전자식 크로스오버는 주파수를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하고 능동소자를 많히사용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도 비싸지만 크기가 작고 주파수가변이 자유로운점과 대역설정이 쉬운점등
여러가지 장점이 있어서 많이들 사용하고있답니다.

로우패스필터는 크기가 커다란 스피커를 제어하기위해서 만들어진 장치이고 하이패스필터는
크기가 적은 스피커를 제어하기위해서 만들어진 장치입니다.

한개의 스피커로 모든 조건을 만족시킬수가 있고 가격이 저렴하다면 이런장치들은 필요가 없으나
불행이도 아직까지 이런 스피커가 없으므로 여러개의 스피커를 이용해야만 하기때문에
이런장치들이 필요해지는것입니다.

이렇게 크로스오버를 잘 이용하면 어떤스피커라도 용도에 맞게 다듬어서 원하는 소리를
만들수있는것입니다.

특히나 카오디오의 여러가지 장치들중에 가장 다루기가 어려운 부분이 크로스오버나
스피커일것입니다.

예전에는 이 크로스오버를 외부장치로 만들어서 더욱더 사용하기 편리하고 여러가지 기능을
부가하여 지금도 고가의 가격에 유통되고있는것도 있읍니다만 이제는 기술이 발달하여
크로스오버는 앰프에 내장되어버리는 추세입니다.

그 만큼 일반화되어있고 전체적인 가격을 낮추기 위해서 중복되는 기능을 피하고
사용하기 편리하게 메인앰프의 내부에 내장시켜버리는것입니다.

카오디오에서 주로 사용하는 스피커들에 맞게 내장된 크로스오버의 기능은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아주 유용합니다.
고가의 오디오 시스템구성이 아니라면 크로스오버 내장의 엠프만으로도 어느정도의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고 코일과 컨덴서를 병용해서 사용할줄알면 아주저렴하게 그리고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범위를 넓혀갈수가 있는것입니다.

이렇게 사람의 귀로 들을수있는 가청주파수 영역 20hz 에서 20khz 마저도 한개의 앰프나
한개의 스피커로 표현(재생)하지 못하는것이 카오디오의 한계입니다.

여러개의 스피커를 용도에 맞게 다듬어 사용하기위해서 크로스오버가 필요하고 적은스피커를
사용하기위해서 하이패스필터가 필요하고 커다란스피커를 다듬어 사용하기위해서
로우패스필터가 필요하며 중간정도의 크기인 중음스피커를
다듬어 사용하기 위해서 밴드패스필터가 필요하다는것을 설명해보았읍니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