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옴] 스피커의 종류 - 다이내믹 스피커

아르고 0 4515 0 0

[퍼옴] 스피커의 종류 - 다이내믹 스피커

멀티미디어 시대를 맞이하여 너무나도 다양하고 많은 제품들이 발표되고 있다. THX, Dolby Digital(AC-3),
DTS 등 많은 음향 포맷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근래 포맷이 확정된 Audio 전용 DVD등 앞으로의 발전 방향도
예측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다행인지 불행인지 아직까지 스피커 분야는 이러한 음향 포맷에는 별 영향을 받
지 않고 있다. 물론 다 채널로 가면 다수의 스피커가 필요로 하는 경우는 있으나 기본적인 설계방향이 혁신
적으로 변경되지는 않고 있다. 본 기초 강좌는 우리가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스피커를 중심으로 약간
의 기술적 해설을 통해 이해의 폭을 넓히기 위한 것이다.

스피커의 종류

Moving coil 다이내믹 스피커
일반적으로 가장 흔하게(99% 이상) 볼 수 있는 스피커로서 전기에너지를 기계에너지를 거쳐 음향에너지로
전환시키는 장치이다. 그림1은 그 구조를 나타낸다. 원통형으로 생긴 보빈에 앰프로부터의 전기신호를 받아
들이는 Voice coil이 감겨져있다. Voice coil에 전류가 흐르면 Front plate와 Pole piece 사이에 형성된 자
기장의 영향을 받아 힘이 발생하게 되고 그 힘으로 보빈과 연결된 진동판이 전후로 구동되게 된다. 처음 발
명된지 70년이 넘게 지났음에도 그 기본 구조의 변경 없이 현재까지 황제의 자리를 내놓지 않고 있으며 몇
몇 신기술 스피커가 개발되고 있음에도 앞으로도 당분간 그 권좌를 내놓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Moving coil 다이내믹 스피커를 소재별로 분류해보면 다음과 같다.

(1) 소프트 돔형 트위터
진동판으로 실크, 플라스틱, 폴리에스테르 폼 등의 유연한 재질을 사용한 트위터이다. 초 고역 재생에서 하
드돔형 트위터에 비해 정확한 피스톤 운동이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지적도 일부 있지만 실크재질을 사용한
고가 제품의 경우는 하드돔보다 월등히 섬세한 소리를 들려준다. 대표적인 고품질 실크돔 메이커로는
Dynaudio, Scan-speak, Morel, Audax, Vifa 등을 들 수 있다. Eggleston Works의 ANDRA 등에 사용된
Dynaudio의 Esotar 와 Sonus Faber Amati 에 사용된 Scan-speak의 D2905-990000이 유명하다.

(2) 하드 돔형 트위터
진동판으로 알루미늄, 티타늄, 세라믹 등의 재질을 사용한 트위터이다. 음질경향은 시원시원하다. 또한 소
프트 돔에 비해 음의 확산이 넓다. Voice coil에서 발생하는 열을 금속 진동판을 통해 방출해 파워핸들링
에 유리하다고 하기도 한다. 가장 큰 약점으로는 금속재질의 진동판의 공진으로 인한 고역의 피크(주로 21
∼27KHz 대역에 존재)가 생기는 것이다. 대표적인 메이커로는 Focal, MB-Quart, Vifa 등을 들 수 있다.
Wilson, JM Lab 등에서 사용되는 역돔 트위터인 Focal의 TC120Tdx와 Avalon에 채용된 MB-Quart 그리고 최
근 Revel과 카시오페아사 등에서 채용한 Scan-speak의 D2904-980000 트위터가 대표적인 유닛이다.

(3) 페이퍼콘 우퍼
가장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왔던 재질이며 현재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재질 중하나이다. 페이퍼콘이라고 해
서 낡은 기술이라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특히, 최근 들어 Scan-speak, Vifa 등에서 비 압축(Non-
compressed) 성형진동판을 이용한 고품질의 페이퍼콘 우퍼가 생산되어 많은 하이엔드 메이커에서 채용하고
있다. 음질경향은 개방적이고 호쾌하다 할 수 있다. Wilson Audio WATT5, ProAc 2.5, 델타 카시오페아 등
에 사용된 Scan-speak의 18W8545 가 대표적인 유닛이다.

(4) 폴리프로필렌콘 우퍼
약칭해서 PP콘이라 불리는 재질이며 현재 전성기를 누리고 있다. 저 왜율과 평탄한 주파수 특성이 특징으
로 Dynaudio와 Scan-speak가 대표적 하이엔드 메이커이며 그 외에 Vifa, Seas 등에서 생산하고 있다. Hales
의 System2와 Paragon의 Regent에 사용된 Dynaudio의 17W-75Ext와 ProAc의 Response2, 3.5에 사용된 Scan-
speak의 18W8543이 대표적인 유닛이다.

(5) 케블라콘 우퍼
케블라는 방탄복에도 사용되는 재질로서 PP콘에 비해 좀더 세밀한 음의 묘사가 가능하다는 재질이다. 고역
에서의 분할공진을 잘 제어하면 훌륭한 재생음을 얻을 수 있다. Focal과 Eton이 가장 대표적인 하이엔드 메
이커이며 초고가 하이엔드 스피커 시스템들의 초 저역 재생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Wilson Grand Slamm,
Hales Concept 시리즈 등에 Focal의 우퍼가 사용되었으며 Focus Audio와 Avalon에는 Eton의 우퍼가 사용되
었다.

(6) 금속재질 우퍼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 등의 진동판을 사용한 우퍼로 아직까지는 널리 사용되지는 않으나 Thiel, Monitor
Audio 등에서 일부 사용하고 있다. 내부댐핑이 적어서 고역에서의 진동판의 분할공진이 있으며 이를 잘 제
어하면 매우 섬세한 재생음을 얻을 수 있다. 근래 Seas의 마그네슘 진동판을 사용한 우퍼가 주목을 받고 있
다.
 
출처 : By 제갈장비 ( 이글루스 )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