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퍼 브릿지 방법입니다.(댓글까지 같이 올려봅니다)

아르고 0 13658 0 0
다음은 신길에 가끔씩 올렸던 우퍼 브릿지 방법입니다.

 제가 남긴 글은 초보자분들이 이해하기 쉽게 글을 적은 것이며,

 댓글에는 다른 전문적인 지식이 있으신 분들이 남긴 글들이 대다수입니다.

 아무쪼록 잘 참고하세요 ^^

*************************************************************************
앰프에서 옴수를 어떻게 변경하는지를 물어보시는 분들이 있는데요..

시중에 유통되는 90% 이상의 대부분앰프에서는 옴수를 변경할수가 없습니다.

-> 앰프에서 옴수를 변경 할 수 있습니다.
요즘이야 그리 드문 유닛은 아니나 밀버트, 맥캔 602, 등등의 유닛은 스피커 연결 단자에 옴수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스피커의 옴수는 주파수 대역별로 계속해서 바뀌므로 스피커의 구동시 평균 옴수를 보통 임피던스라고 표기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앰프의 입장에서 임피던스는 댐핑과도 관련이 있는데 이부분은 저도 잘 모르기도 하지만 설명하자면 복잡해서리.... 또, 스피커의 입장에서 임피던스는 위상과도 관계가 있습니다..... 이부분은 카오됴에서 상당히 중요한 부분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기회되시면 천천히 연구해 보세요~


옴수를 결정하는건 미드우퍼, 서브우퍼에서 브릿지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이미 옴수는 결정이 되어 있는 겁니다.

앰프에는 이미 결정되어 있는 옴수를 그냥 물려준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상담전화를 하도 많이 받다 보니..

가장 많이 물어보시거나 가장 많이 대답하는 부분을 글로 적어봅니다.

작은 지식이나마 보탬이 된다면 큰 기쁨이 되겠습니다.

하지만 저또한 아마추어이고, 모르는 부분도 많습니다.

제 설명에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달게 지적받겠습니다.

(단, 제 경우는 일반적인 경우를 말씀 드리는 것이기 때문에
예외가 있다는 경우로 딴지를 걸지는 말아주시기 바랍니다.)

일반적으로 우퍼방식은 싱글, 듀얼 이 두가지 중 하나입니다.

싱글은 말 그대로 + 1개, - 1개를 말하는 거니까 브릿지가 안되구요..

듀얼은 +가 2개, - 가 2개인 우퍼를 말합니다.

듀얼우퍼가 좋은 이유는 우퍼 한발로 우퍼2발의 효과를 내줄수가 있기 때문이죠..


-> 듀얼우퍼가 우퍼 한발로 우퍼 2발의 효과를 내줄수는 없습니다.
김권배님이 좋아하시는 음압적인 부분에서 보자면 15인치 rms500짜리 우퍼 한개와 12인치 rms 250 짜리 싱글우퍼 2개중 어떤게 음압이 좋을까요?? 오디오에서 스피커의 역활은 콘지가 진동하여 공기에 파장을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아무리 듀얼우퍼라고 하더라도 공기중에 파장을 만들어 내는 방법은 콘지의 면적에 비래 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단순 계산상으로는 아마 12인치 싱글 우퍼 2개가 더욱 효과적일거라 생각합니다.
듀얼우퍼의 장점은 앰프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임피던스를 선택 가능하게 한데 목적이 있지 않나 싶네요~

현재 시중에 나와있는 듀얼우퍼는 대체로

2옴 듀얼과 4옴 듀얼이 거의 95%이고,

18인치 6옴 듀얼도 아주 드물지만 있습니다.
(18인치 6옴 듀얼은 무조건 밑의 1번방식으로 해야합니다.)

-> 김권배님이 좋아하시는 트레오 중에 8옴 듀얼도 있습니다.

JL12W 시리즈 중에는 3옴 싱글인 우퍼도 있더군요.

듀얼우퍼에서의 브릿지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2옴 듀얼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1) 2옴 듀얼에서 + 는 + 끼리 선을 따서 서로 묶고,

- 는 -끼리 선을 따서 서로 묶어 주면 1옴 브릿지가 됩니다.

-> 우퍼에도 분명 음질이 있습니다.

1옴은 제가 가장 추천하지 않는 방법이며, 음질은 거의 무시한채

음압과 진동만 엄청 올려서 듣겠다는 분들에게만 추천합니다.

-> 꼭 그렇지도 않아요~ 저출력의 하이커런트 앰프로 브릿지 구동하면 음질적으로도 상당히 쓸만합니다.


2) 2옴 듀얼에서 한쪽의 + , 반대쪽의 -를 바로 연결하고,

남아있는 한쪽의 - 와 반대쪽의 + 를 각각 선을 쭉 따면 4옴이 됩니다.

-> 바로 사진에 있는 그림입니다.~!

-> 듀얼 우퍼를 1발 쓰시는 분들에게 제가 가장 추천해 드리는 방법입니다.

옴수가 올라갈수록 음질은 좋아집니다.

-> 옴수가 올라갈수록 음질이 좋아지는건 아닙니다. 앰프 출력 등의 스펙들을 자세히 보면 8옴일때 s/n비 4옴일때 s/n비가 틀립니다. 물론 8옴일때가 더 우수한 출력특성을 보입니다. 하지만 8옴일경우 4옴보다 앰프밥을 많이 필요합니다. 또 구동면에서 다량의 전원이 필요합니다. 이럴경우 앰프는 고가의 유닛이 선정될수 밖에 없고 카오디오의 한정적인 전원에서 그런부분을 회피하기위해 4옴 유닛을 많이 사용하는데 그렇다고해서 4옴짜리 유닛이 밥을 적게 먹는 것도 아닙니다. 스피커 선정시 센서티브값을 보고 유닛의 임피던스를 보고 선택하는게 옳은 방법이 아닌가 합니다.

가정용 오디오가 대부분 8옴인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만일 차량에 가정용처럼 220v가 무한정 공급될수 있는 기술이

개발된다면, 당연히 모든 유닛을 8옴으로 제작할 겁니다.

그만큼 8옴이 소리가 좋기 때문이죠.

간혹 SQ 매니아분들 중에서 일부러 4옴 2개를 8옴으로 브릿지해서

듣는 분들도 더러 본적이 있습니다. 드물긴 하지만요.

하지만 옴수가 올라갈수록 앰프의 부담이 커지므로

-> 옴수가 올라갈수록 앰프의 부담은 적어집니다. 대신 대용량의 트랜스를 탑재한 고가의 유닛으로 스피커를 구동해야하고 그 앰프에 밥을 주려면 많은 전원이 필요로 하므로 적절한 합의점을 잘 찾는게 좋은 방법이 아닌가 합니다.
4옴 두개로 8옴을 만들어서 사용하는건 제 경험상 참 비효율적인 방법입니다. 트윗과 미드의 임피던스를 맞추기 위한 방법이 아니라면 8옴 유닛 두개로 4옴을 만들어서 듣는게 더 좋은 방법이 아닐까 싶네요. 약간 중역대가 혼탁하게 들릴지도 모르겠지만 3웨이 4나 2웨이 3로 구성하되 상급의 트윗을 사용하는게 더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RMS가 500이 넘는 듀얼우퍼를 4옴브릿지로 밀려면

그만큼 큰 구동력을 가진 앰프를 걸어줘야 한다는 얘기가 됩니다.

최근에 간혹 +와 반대편 -를 연결하고, 또 남은 - 와 반대편+ 를 또다시

연결한 후, + 1개와 - 1개씩 물리는 분들을 봤는데요..

이렇게 되면 우퍼 출력이 상당히 저하가 됩니다. 절대 비추천입니다.

-> 상당히 저하되는건 아닙니다. 압적인 부분에서는 2/3정도 줄어드는 정도인거 같습니다. 장점으로는 대음량으로 들을때 앰프에 무리가 덜가고 더 높은 볼륨에서도 디스토션이 늦게 걸리므로 세팅이 보다 자유로울수 있겠지요... 물론 임피던스가 높으므로 음질에 열화가 덜가는 방법이고요...



3) +,- 를 한채널, 반대쪽 +,-를 한채널에 물리면 2옴이 됩니다.

-> 그러나 이 방법은 초대형SPL우퍼를 장착할 경우

많이 사용하는 방법으로 알고 있으며,

우퍼용 앰프 또한 모노가 아닌 2채널이어야만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 경우, 앰프의 한쪽 채널이 불량이 생기게 되면

우퍼의 좌우 코일의 전압이 안맞아서 우퍼코일이 완전히 나가게 됩니다.

이 방법 또한 저는 절대 추천하지 않습니다.

그러니까, 2옴 듀얼우퍼는 1옴, 4옴만 가능하고,

한발을 채널당 하나씩 해서 2옴으로 듣는 방식은 상당히 위험한 방법입니다.

-> 그리 위험한 방법은 아닙니다. 제 경험상 소니 5540으로 1,2채널 3,4채널 브릿지시켜 채널당 하나씩 물려서 저그넛도 구동해 보았는데 노빌레 250*2짜리 브릿지한 앰프 보다 소리적으로는 훨씬 훌륭하더군요.... 그렇다고 노빌레가 출력이 미비한 앰프는 아닙니다만. 음질적으로는 5540보다 못하지 않을까요? 저출력 음질 괜찮은 앰프로 대출력 우퍼를 구동하기위한 유용한 방법중 하나가 아닌가 싶습니다. 단, 앰프출력이 서로 똑 같은 앰프를 사용해야겠지요. 만약 한쪽 채널이 죽었을경우 우퍼쪽에서 역기전력이 흘러 앰프가 죽을수도 있으니 그부분만 조심하면 괜찮은 방법 입니다.
**************************************************************

SPL 대회용 우퍼인 경우, 듀얼우퍼일때 한채널당 대출력앰프 1개씩

물려서, 그러니까 대출력 듀얼우퍼 한발에 대출력앰프를 2개를

물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건 말 그대로 SPL 대회용일때 사용합니다.

우퍼 한발에 앰프를 두개를 쓸 정도면....

말 그대로 매니아라고 할수 있겠죠.

**************************************************************


4옴 듀얼도 마찬가지입니다.

하지만 4옴듀얼을 1번과 같은 방법으로 하면 2옴이 되기 때문에

어느정도 음질을 기대할수가 있습니다.

개인적인 소견으로는

2옴 듀얼 우퍼는 2옴으로 들을때가 음질이나 힘적으로 소리가 가장 좋습니다.

하지만 2옴 듀얼우퍼 한발로는 2옴이 힘들죠.

그렇기 때문에 2옴 듀얼 우퍼를 2발을 써서, 4옴, 4옴 브릿지 해서

그걸 다시 브릿지 해서 2옴으로 쓰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고

할수 있겠습니다.

저 또한 트레오SS15.22(2옴 듀얼, RMS500~1000) 15인치 2발을

4옴, 4옴 해서 2옴브릿지로 위자드440.2 에 연결해서 듣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SQ, SPL 모두 만족하면서 듣고 있습니다.

-> 제 개인적인 소견으로는 15.22한발에 440.2 한채널씩 각각 물려 주는게 앰프의 입장에서도 그렇고 음질적으로도 그렇고 더 효율적인 방법이 아닌가 싶네요. 앰프에서 4옴 브릿지시 앰프 내부적으로는 2옴이 걸립니다. 앰프입장에서는 고생을 하는거죠.... 쉽게... 브릿지 할때와 하지 않을때 앰프의 열이 얼마나 나는지 손으로 만져보면 쉽게 알수 있을겁니다.

추가인 질문이 있으신분은 연락 주세요..

딴지를 거신다면 달게 받겠습니다.

그 또한 저의 견문을 넓히는 계기로 삼지요.

전원보강에 대해서도 나름대로 장문(?)의 글을 쓴 것이 있습니다.

검색에 전원보강 이라고 치시면 제 글이 있을 겁니다.

저의 작은 소견이

많은 분들의 카오디오 셋팅에 작은 보탬이 된다면 더없는 영광이겠습니다.

- 성음전자 ARGO REMASTERING 제품 담당 김권배 -

HP: 010-7445-9929

***************************************************************
다음은 제게 딴지를 거신 송진영님의 글입니다.
같이 참조로 올립니다.
맞춤법이 좀...ㅋㅋ (한글을 사랑합시다)



지나가다 딴지걸어봄니당^^
님이 이야기한것이 어느정도 타당성은 있으나 다른님들의 오해를 불러올소지가 다분히있어어 몇자 적어 봄니당^^
브릿지할때 옴수를 올리거나 내리거나 하는것은 사용자분들의 앰프스팩에 맛추어서 앰프가 무리하지않고 구동할수있는 최적에 세팅포인트를 맛추기위함임니당 우퍼에 음질을지적하시는데 우퍼에옴수를올리거나내리거나해서 글세요 인간에귀로 음질이 떨어지는것을 확연히 구분하실수있는분이 얼마나 되실까여....아마도 별로많지안으리라 생각되는군여...저역시도 잘모르거든여..
그럼 왜 섭을 쓰느냐 미드에서재생을못하는저역(7인찌도50HZ이하로 재생못하거든여) 이놈이 빠져버리면 음이영 메롱이거든여
음을 즐기실때 고음이 없으면 이상하듯이여..전제적으로 발란스가 맞아떨어져야 좋은음을 즐길수있지안을까여
우퍼음은 특히 박스를 제작하므로 이놈을 얼마나 자기취향에맞추어서 제작을하는냐에 음질이 결정난다고 보심 정답아닐까여....^^
참고로 저는 차량에 전기가(여기서전기는 V가 아닌 A아임당)모자르므로
75*2 요넘브릿지해서 RMS1200 ~MAX4500 15인찌 돌려요^^ 참고하삼
미드여 3웨이 사*스 MC140 35W*4체널 요넘으로 트윗 ,미드레인지
US,TU600 요넘으로 다인170미드우퍼 게인12이정도사용....
참고로 패시브,멀티 이야기 하셨는데 각 개인에취향에따라 다르고 일장일단이 있으므로 님에생각은 별의미가 없으며 또한 님은 볼륨과 게인에 차이도 모르시는것 같군여 ^^ 요부분에 대해서 공부하셔여
전원보강이요....요부분도하나지적하지요
님은 자꾸V부분만 언급하시는데 알터업으로 예를들지요 알터를업한다고 V가 더업이됨니까^^ 보통순정이 요즘신형은 중형차기준(에쿠수140A)120A정도표기하지요 하지만실출은95A정도 되는것으로 알고있어여 요기서 왜V로표기하지안고 A로 표기할까여 의문이생기지안나여^^ 공부하삼
또한 아이솔레이터와 무접점릴레이를 야그하시는데 릴레이는 거냥 릴레이 일뿐임니당 요넘이 지아무리 재주를부려바야 전기를 붙여주고 끝어주고 이거박에 할수있는일이없어여 아시져^^ 아이솔레이터 요넘은 요기에 한발더나가서 어느밧데리가 A가(충전량)이 모자란지를 전압차이를이용한회로가있어 자체적으로감지하여 각 밧데리에 충전 순위를결절할수있는데 아이솔레이데에 장점이있는것임당 하지만 가격대비 성능을 고려안할수가 없지요 그래서 대안으로 무접점릴레이를 사용하는것임니다^^ 저도 요넘써요
정보를 제공하실때 제대로된 정보를 제공하셨음 하는마음에 딴지걸어여
기분이 상하셨다면 지송

0 Comments